'개발새발'에 해당되는 글 56건

 

 

  • 지금까지는 단순 검색(Ad hoc retrieval) 대해 주로 다뤘으며, 단순 검색은 사용자가 정보 요구를 검색 엔진에 보내고, 검색 엔진으로부터 결과를 받아 확인하는 과정임
  • 그러나 많은 사용자들은 똑같은 정보 요구를 주기적으로 반복함
    • 상시 질의(Standing query)
      •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 출현한 문헌을 수집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같은 질의를 반복함
      • 외에는 일반 질의와 동일함
      • 하지만 해당 질의와 밀접한 관련 문헌들을 찾을 없기 때문에 상시 질의가 점진적으로 수정되어야
  • 분류(Classification) 문제
    • 상시 질의를 일반화한 것으로 범주(Class, Category, Label) 객체가 주어지면 객체가 속할 하나 이상의 범주를 결정하는
    • 문서 분류의 목적은 실험 자료 혹은 새로운 자료에 대해 높은 정밀도를 얻는
    • 하지만 학습 집합에서 높은 정밀도를 얻었다고 새로운 자료에 대해 반드시 높은 정밀도를 얻을 있는 것은 아님
 

13.1 문서 분류 문제

  • 지도 학습(Supervised learning)
    • 감독자(범주를 정의하고 학습 문헌에 범주를 부착하는 사람) 학습을 도와주는 교사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방법
    • 지도학습을 F라고 하면 F(D) = 표기할 있으며, 학습 방법 F 학습 집합(Training set) D 입력으로 받아서 분류 함수 구하는 것임
    • 일단 분류 함수 학습되면 분류 함수 이용해서 실험 집합(Test set) 혹은 실험 자료(Test data) 분류할 있음
    • 이로써 새로운 문헌에 범주를부여할 있음
 

13.2 Naive Bayes 문서 분류

  • 다항 Naive Bayes(Multinomial Naive Bayes) 혹은 다항 NB 모델
    • 문헌 d 범주 c 속할 확률을 이용한 문서 분류 방법으로 범주 c c 내의 문헌에서 용어 t 상대 빈도에 따른 최대값으로 가장 적합한 범주를 선정하는 방법임
      • 위치 독립 가정(Positional independence assumption) 사용
    • 희소성(Sparseness) 때문에 만약 용어들 하나가 추정치가 0 되는 경우 모든 용어의 조건부 확률이 곱해지는 과정 때문에 해당 범주의 추정치는 0
    • 따라서 모든 빈도에 1 더하는 1-가산 평활화(Add-one smoothing) 혹은 Laplace 평활화(Laplace smoothing) 사용함
 

13.3 Bernoulli 모델

  • NB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 하나
  • 다항 모델의 다른 방법으로 다변량 Bernoulli 모델(Multivariate Bernoulli model) 혹은 Bernoulli 모델이 있음
  • 이진 독립 모델과 같으며 문헌에 용어가 존재하면 1 생성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0 생성하는 모델임
  • 하지만 Bernoulli 모델에서 P(t|c) 용어 t 포함하는 범주 c 속하는 문헌 비율(Fraction of document)로서 추정함
    • 반면 다항 모델에서 P(t|c) 용어 t 포함하는 범주 c 속하는 문헌에서 위치 비율(Fraction of position) 혹은 토큰 비율(fraction of tokens)로서 추정함
  • 실험 문헌을 분류할 Bernoulli 모델은 이진 출현 정보를 사용하고 출현 빈도를 사용하지 않음
    • 반면 다항 모델은 다양한 출현 정보를 이용함
    • 결과적으로 bernoulli 모델은 문헌을 분류할 많은 오류를 유발함
  • 분류 결정(Classification decision)
    • 다항 모델에서는 분류 결정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
    • Bernoulli 모델에서는 P(c|d) 계산할 출현하지 않은 용어의 확률이 인수분해되어, 출현하지 않은 용어를 분명하게 모델링할 있음
 

13.4 Naive Bayes 성질

  • 문서 분류를 위해 다항 모델 Bernoulli 모델에서 2^M*|C|개의 인수를 추정해야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가 너무 커서 정확한 인수를 추정할 없음
  • 인수를 줄이기 위해 Naive Bayes 조건 독립 가정(Conditional independence assumption) 필요함
    • 하지만 조건 독립을 가정하더라도 문헌에서 위치 k마다 서로 다른 확률 분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항 모델에서는 너무 많은 인수가 존재함
  • 추가로 용어 t 조건부 확률은 문헌 내에서 위치(k1, k2) 관계없이 모두 같음을 가정하는 위치 독립(Position independence) 사용함
    • 하지만 용어들은 서로 매우 의존적인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독립적이지 않음
    • 다항 모델에서는 위치 독립 가정을 사용하고 Bernoulli 모델에서는 위치 정보가 사용되지 않지만 NB 좋은 문서 분류기임
      • NB 확률 추정(Probability estimates) 그다지 좋지 않지만 분류 결정은 아주 좋음
  • 개념 이동
    •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개념이 변화하는
      • 예를 들면 대통령이 바뀌는
      • Bernoulli 모델은 개념 이동에 대해 특히 적응됨
        • 수십 이하의 용어만 가지고도 상당한 성능을 모임
        • 따라서 아주 중요한 핵심 자질에만 의존하는 모델은 개념 이동에도 높은 정밀도를 유지할 있음
  • NB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자주 사용됨
    • 정밀도가 떨어져도 문제가 되지 않을
    • 대량의 학습 자료가 있고 작은 학습 자료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는 분류기보다 많은 학습 자료를 통해서 학습하는 것이 많은 이득이 있을
    • 개념 이동에 적응하는 분류기를 개발하려고
 

13.5 자질 선택

  • 자질 선택(Feature selection)
    • 학습 집합에서 출현하는 용어의 부분집합을 선택하는
    • 목적
      • 사전의 크기를 줄여서 학습과 실험에서 효율적인 분류기를 만드는
      • 잡음 자질을 제거해서 분류 정밀도를 높이는
        • 잡음 자질(Noise feature)
          • 어떤 자질이 문헌 표현에 포함됨으로써 오히려 분류 오류가 증가하는 자질
        • 과적합(Overfitting)
          • 학습 자료에 우연히 발생된 것을 일반화하여 정확한 분류를 방해하는 현상
    • 기본적인 자질 선택 알고리즘
      • 범주 c 주어지면 사전에 있는 모든 용어에 대해서 이용률 A(t, c) 계산하고, 가장 높은 A(t, c) 값을 가지는 k개의 용어를 선택함
      • 선택되지 않은 모든 용어는 문서 분류에 관여하지 않음
      • 이용률
        • 상호 정보
        • Χ^2 검증
        • 빈도
  • 평균 상호 정보(MI, Mutual Information) 따른 자질 선택
    • 용어가 c 정확하게 분류하는데 얼마나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측정함
    • 실험 결과
      • 자질 수가 많은 경우 다항 모델이 Bernoulli 모델보다는 좋은 성능을 보이고, 자질 선택으로 선택된 자질을 사용하는 것이 모든 자질을 사용하는 것보다 좋은 성능을 보임
  • Χ^2 자질 선택(Χ^2 feature selection)
    • 통계학에서 Χ^2 검증은 사건이 독립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됨
    • Χ^2 평균 빈도 E 관찰 빈도 N 얼마나 차이를 보이는지를 측정함
      • Χ^2 높으면(평균 빈도와 관찰 빈도가 비슷하지 않으면) 독립 가설이 거짓임
      • Χ^2 임계값에 따라 통계적 유의성(Statistical significance) 독립 사건인지를 결정하고 자질을 선택함
      • 통계적으로는 독립성을 결정하기 어려울 있지만 자질의 유용성에 따라 순위화하는 데에는 충분히 사용 가능함
  • 빈도 기반 자질 선택(Frequency-based feature selection)
    • 어떤 범주에 가장 자주 나온 용어를 자질로 선택함
    • 빈도는 문헌 빈도(범주 c에서 용어 t 포함하는 문헌 ) 혹은 컬렉션 빈도(범주 c에서 속한 문헌에 출현한 용어 t 빈도수) 사용함
    • Bernoulli 모델에서는 문헌 빈도가 적절하고 다항 모델에서는 컬렉션 빈도가 적절함
    • 가지 방법 중에는 성능이 가장 낮음
  • 탐욕적 방법(Greedy method) (욕심이 많아 새로운 것들을 끊임없이 원함)
    • 가지 방법은 모두 탐욕적 방법으로 이들 모두 자질의 크기를 늘려도 이전에 선택된 자질이 가지고 있던 정보에 새로운 정보가 더해지는 형식으로 자질을 추출하지 않음
    • 반면에 비탐욕적 방법(Non-greedy method) 계산양이 너무 많아서 문서 분류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음
 

13.6 문서 분류의 평가

  • 문서 분류기에 대해 각각 재현율, 정확률, 정밀도를 구할 있음
    • 최근 대부분 ModApte 분학(ModApte split) 사용함
      • 학습 문헌과 실험 문헌이 각각 9,603개와 3,299개로 구성되었고 모든 문헌은 전문가가 검토한 것임
      • 범주 내에 문헌을 아주 고르게 분포함
    • 상대 빈도가 1% 밖에 되지 않은 범주에 대해 항상 no라고 해도 99% 정확하기 때문에 항상 no라고 해도 정밀도가 항상 높아서 작은 범주에 대해서는 재현율, 정확률, F1 훨씬 적절한 척도임
  • 유효성(Effectiveness)
    • 정확률, 재현율, F1, 정밀도를 포함해서 분류 결정을 평가하는 척도를 통칭함
  • 하나의 총합적인 척도를 위한 방법
    • 거시 평균(Macroaveraging)
      • 범주에 척도를 평균하는 방법
    • 미시 평균(Microaveraging)
      • 문헌마다 범주의 척도를 문헌마다 적절한 곳에 모으고 이렇게 모은 이분표에서 유효성을 구함
    • 거시 평균은 범주가 동등한 비율로 참여하였고 미시 평균은 문헌이 동등한 비율로 참여함
      • 따라서 미시 평균은 실험 컬렉션에서 범주에 대한 유효성 척도로 사용되고 거시 평균은 작은 범주의 유효성 척도로 사용됨
  • 범주, 문헌 컬렉션, 실험 환경에 따라 크게 달라질 있음

 

 

 

블로그 이미지

나뷜나뷜

,